<p></p><br /><br />우리 정부가 올해 초에 독감치료제인 타미플루를 북한에 보내려고 했다가 무산된 적이 있습니다. <br> <br>그냥 받기 싫어서 거절한 건 줄 알았는데, 알고보니 타미플루 부작용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습니다. <br><br>유승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올해 초 정부는 독감치료제인 타미플루 20만 명 분을 북한에 보내려 했습니다. <br> <br>미국과 협의까지 마쳤지만 북한이 받지 않아 무산됐는데,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백태현 / 통일부 대변인 (지난 3월)] <br>"타미플루와 관련해서는 북한이 거절의사를 밝힌 적은 없습니다. 그래서 저희가 그런 지금 상황을 지켜보는 것으로 그렇게 이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채널A 취재 결과, 북한이 거부한 이유는 타미플루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대북 소식통은 "타미플루가 부작용과 환각 증세가 있어서 자체 검토 결과가 나와야 받겠다는 입장을 북한이 우리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북한은 이런 내용을 통일부에 문서로 공식 통보했습니다. <br> <br>이 때는 한국에서도 타미플루 부작용이 논란이 됐던 시기였습니다. <br> <br>[뉴스A (지난해 12월)] <br>"부산에서 13살 여중생이 아파트 12층에서 추락해 숨졌습니다." <br> <br>경제 제재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거란 해석도 나옵니다. <br><br>통일부는 남북 간 협의를 지속해왔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밝힐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손진석